1. 와플
와플(영어: waffle)은 두 개의 뜨거운 틀 사이에 끼어 굽는다. 와플 틀 속에는 밀가루, 달걀, 우유 등을 반죽한 것을 넣어 말랑하게 구운 *비스킷의 일종이다. 빵의 외형이 독특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취향에 따라 잼이나 크림을 발라서 먹을 수 있고, '벨기에 와플'이 가장 유명하다.
*비스킷: 비스킷(영어:biscuit)은 밀가루에 우유, 설탕, 버터를 섞어 구운 과자를 말한다. 잼, 버터를 발라 먹기도 하는 서양과자로 차와 특히 잘 어울린다.
2. 와플의 역사
고대 그리스인들은 뜨거운 금속 평판 사이에 평평한 케이크를 조리했다. 그것을 오벨리오스(obelios)라고 한다. 중세 유럽 시대로 확산된 이 케이크 혼합가루는 밀가루 혼합물, 우유, 물, 달걀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것이 웨이퍼스(wafers)라 불리게 되었다. 이것이 긴 손잡이가 있는 철판 사이로 가열, 조리 되었다.
3. 와플의 종류
벨기에 와플 : 벨기에 와플은 유럽, 북아메리카에서 유명한 와플의 일종이고, 미국식 와플보다 큰 것이 특징이다. 흔히 이 와플을 가리키는 이름인 '벨기에 와플'은 벨기에에서는 쓰지 않는다. 벨기에는 브뤼셀 와플, 리에주 와플 등 와플 종류가 다양하다. 미국 등지의 와플과 다르게 전통적인 벨기에 와플에는 베이킹파우더 대신에 이스트가 사용된다. 현대의 벨기에 와플은 보통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주로 아침 메뉴로 와플을 섭취한다. 와플 토핑은 설탕, 과일, 버터, 휘핑크림, 마가린 등 매우 다양하다. 또한 과일, 아이스크림과 함께 디저트로 먹기도 한다.
브뤼셀 와플 : 브뤼셀 와플은 브뤼셀 지역의 와플이다. 직사각형으로 크기가 크고, 식감이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와플이 따듯할 때 설탕, 크림을 뿌려 먹기도 한다. 브뤼셀 와플은 전통적으로 달걀흰자잎 , 효모 잎 반죽과 함께 만든다. 때때로 두 가지 종류의 잎이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직사각형 모양의 가볍고, 바삭한 식감이 특징이다. 벨기에에서는 대부분의 와플이 길거리 상인에 의해 따듯하게 제공된다.
리에주 와플 : 리에주 와플은 리에주 지역의 와플이다. '*싸락설탕'을 넣어 만들기 때문에 현지에서는 설탕 와플이라는 뜻의 '고프르 오 쉬크르'라고도 불린다. 둥근 모양의 식감이 묵직한 것이 특징이다. 와플 자체에 단맛이 강해 따로 설탕 토핑을 하지 않는다. 벨기에에서 가장 흔한 와플 종류로 전국 상인들이 바닐라, 계피 종류로 만든다. 미국에서는 와플 '캐빈'브랜드로 대부분 북동부 지역의 스키 리조트에서 팔리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싸락설탕 : 싸락설탕 또는 싸라기 설탕은 정제된 백설탕의 일종이다. 알이 굵고 불투명한 흰색을 띤다. 식감이 바삭바삭하다. 제빵 과정에서 녹지 않아 음식 장식으로 쓰인다.
아메리칸 와플 : 아메리칸 와플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벨기에산 와플보다 밀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베이킹파우더로 만든 반죽으로 만든다. 피칸, 초콜릿 등을 섞기도 하며 모양도 다양하다. 미국의 팬케이크처럼 버터, 베이컨, 메이플 시럽 등 달콤한 아침 식사로 먹는다.
이 외 크로플, 베르기셰스란트 와플, 홍콩 스타일 와플, 판단 와플, 스칸디나비아식 와플, 핫도그 와플, 아이스크림 와플, 와플 온 어 스틱 등 다양한 와플의 종류가 있다.
와플의 토핑은 안 넣은 채로 먹을 수 있지만, 다양한 토핑을 첨가해서 먹을 수 있는 것이 매력이다. 버터, 초콜릿 칩, 바나나, 블루베리, 라즈베리, 딸기, 꿀, 잼, 젤리, 땅콩버터, 초콜릿 시럽, 캐러멜시럽, 아이스크림, 슈가 파우더 등이 있다. 기호에 맞추어 골라 먹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베이커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빵' 먹기만 했지 잘 몰랐잖아! (1) | 2024.12.28 |
---|---|
빵의 종류 - 베이글 (1) | 2024.12.01 |